[정보처리기사 실기] 4장 통합 구현 - 연계 데이터 구성

2022. 4. 20. 09:39정보처리기사/실기

728x90
반응형

연계 요구사항 분석

연계 요구사항 분석 개념

개념 : 서로 다른 두 시스템 중계 역할하는 연계 시스템과 관련된 요구사항 분석, 인터뷰나 면담 통해 진행

  • 분석 기법 : 인터뷰, 체크리스트, 설문지, 델파이 기법(전문가), 브레인스토밍
  • 분석 참고 문서 : 코드 정의서, 테이블 정의서, 응용 프로그램 구성도, 시스템 구성도

연계 요구사항 분석 참고 문선

(1) 개체 정의서

- 개념 모델링 단계에서 도출한 개체 타입, 관련 속성, 식별자 등 개괄적으로 명세화

 

(2) 테이블 정의서

- 논리 및 물리 모델링 과정에서 작성한 설계 산출물, 특성, 인덱스, 업무 규칙을 문서화

- 컬럼의 특성은 컬럼명, 데이터 타입, 길이, 넣 여부, 키 여부, 디폴트 값 의미

 

(3) 인터페이스 명세서

- 인터페이스 ID 별로 송수신하는 데이터 타입, 길이 등 항목을 상세하게 작성한다.

 

(4) 인터페이스 명세서 구성요소

- 송신과 수신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방식, 주기 등 기록한 현황

  • 인터페이스 ID, 최대 처리 횟수, 데이터 크기(평균, 최대), 시스템 정보(송수신 각각 등록), 데이터 정보(송수신 각각 등록)

 

연계 요구사항 분석 절차

  1. 시스템 현황 확인 : 송수신 하드웨어 구성, 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 네트워크 현황 확인
  2. 정의서 확인 : 연계하고자 하는 데이터 관련 테이블 정의서, 코드 정의서 확인
  3. 체크리스트 작성 : 질의 사항 시스템 관점과 응용 관점에서 연계 분석 체크리스트
  4. 인터뷰 및 면담
  5. 연계 요구사항 분석서 작성 : 요구사항 ID 부여하고 분석서 작성

연계 시스템의 구성

- 송신과 수신 시스템으로 구성하고, 방식에 따라 중계 서버 둔다.

 

  • 송신 시스템 : 연계할 데이터를 디비와 앱으로 부터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 형태로 생성해 송신하는 시스템
  • 수신 시스템 : 수신한 테이블이나 데이터를 수신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형식에 맞게 변환하여 디비에 저장하거나 앱에서 활용하도록 제공
  • 중계 서버 : 데이터 송수신하고 연계 데이터 송수신 현황 모니터링, 보안 강화 및 다중 플랫폼 지원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연계 데이터 식별

식별 정보

  • 대내외 구분 정보, 기관명, 시스템 ID, 한글명, 영문명, 시스템 설명, 시스템 위치, 네트워크 특성, 전용 회선 정보, IP/URL, 포트, 로그인, 디비 정보, 담당자 정보

연계 데이터 범위 검토사항

송신부 수신부 검토사항
String Number 한 가지 데이터 타입으로 정의 및 적용
Number String
Date String
String Date
Not Null Null 송신 시스템에 입력 값 그대로 연계
Null Not Null 연계 불가
송신 데이터 크기 > 수신 데이터 크기 연계 불가, 수신 데이터의 크기로 줄였을 경우 가능
송신 데이터 크기 < 수신 데이터 크기 수신 데이터 크기로 변환하여 연계

 

연계 데이터 표준화

- 교환되는 데이터는 규격화 된 표준 형식을 정의, 전송되는 표준항목과 업무 처리 데이터, 공통 코드 정보등 누락 없이 식별하고 명세서 작성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데이터 표준

  • 인터페이스 데이터 공통부 : 표준 항목 포함
  • 인터페이스 데이터 개별부 : 송수신 시스템에서 업무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포함
  • 인터페이스 데이터 종료부 : 전송 데이터의 끝을 표시하는 문자 포함해 종료 표시

사례

전문 공통부(고정) 전문 개별부(가변) 전문 종료부(고정)
전문 길이 (10바이트) 시스템 공통 (246 바이트) 거래 공통(256바이트) 데이터(다 바이트) 전문 종료(2바이트)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절차

  1. 연계 범위 및 항목 정의 : 연계 정보를 구체화하여 범위와 항목 정의, 데이터 타입 및 길이 코드화 여부 확인, 연계 항목이 서로 다를 경우 일반적으로 수신시스템 기준으로 맞춘다.
  2. 연계 코드 변환 및 매핑 : 연계 대상 범위 및 항목 식별 이후, 연계 정보 중 코드로 관리 되는 항목 변환, 코드로 관리 되는 정보는 검색 조건으로 활용
  3. 연계 데이터 식별자와 변경 구분 추가 : 송신된 정보가 수신의 어떤 데이터에 해당하는지 추출 위해 식별 키 항목 추가, 수신에 반영하기 위해 수신의 테이블에 추가, 수정, 삭제할 데이터인지 식별해 주는 구분 정보 추가, 연계되는 정보의 여부 일시 오류 등 확인하고 모니터링 위한 테이블 파일 관리 정보 추가
  4. 연계 데이터 표현 방법 정의 : 범위, 항목, 코드 매핑 방식 정의 후 연계데이터 테이블이나 파일의 형식으로 구성, 연계 데이터 생성하는 시점 연계 주기, 적용되는 연계 솔루션의 지원 기능 등에 따라 다르게 표현 가능, 파일 형식에 따라 태그, 항목 분리자 사용에 의해 상세화
  5. 연계 정의서 및 명세서 작성 : 연계 항목, 연계 데이터 타입, 길이등 구성하고 형식을 정의하는 과정의 결과물로 연계 정의서 작성, 송수신 간의 인터페이스 현황 작성, 인터페이스 ID 별로 송수신하는 데이터 타입, 길이 등 항목 상세하게 작성
728x90
반응형